



Bone Chair #1
CT Scanned Bone, PLA (Polylactic Acid)
2023
703 (W) X 750 (L) X 1264 (H)
Bone Chair was created as part of the artist’s ongoing investigation into the strategy of defamiliarization. First conceptualized by the literary theorist Viktor Shklovsky, defamiliarization refers to the aesthetic device of deliberately estranging the familiar in order to make it perceptible anew. The artist extends this strategy into the field of visual art, transforming images that people might find grotesque or uncomfortable—or conversely, those that have become overly familiar and passively consumed—into new forms that open a space for altered perception.
The point of departure for this work is the material of bone. Bone sustains human existence as structure, yet simultaneously functions as a signifier of death, finitude, and decay. As such, it is an object often hidden from view, evoking unease, disgust, or fear. Rather than presenting this negative imagery directly, the artist employs digital technology to dismantle and reconstruct the form, stripping bone of its conventional symbolism.
The process begins with CT scans of the artist’s own bones, which are then translated into 3D modeling data. In this conversion, the bone ceases to be a singular anatomical structure and becomes a constellation of points and surfaces in digital space. The model is fragmented, segmented, and disassembled, then recomposed and transformed through digital manipulation. This sculptural process is not a matter of replication or representation, but of deconstruction and substitution—whereby the original is transfigured into a wholly different object. Ultimately, bone as a tangible subject is reimagined and rematerialized as a chair.
The resulting object operates simultaneously on three levels: function, form, and symbolism. At first glance, the viewer encounters what appears to be a strange yet compelling piece of art furniture. The original anatomy of bone has been dismantled beyond recognition, and thus the work is perceived simply as a chair—an object one may sit upon. Yet once the viewer becomes aware of its source and process, the piece exceeds its identity as furniture and provokes a dramatic collision of meaning. The everyday act of sitting collides with the signifiers of death and abjection, generating a tension that unsettles established modes of thought and opens a horizon for new reflection.
Bone Chair disrupts the boundary between functional object and sculptural artwork. As furniture, it embodies practical usability; as sculpture, it articulates symbolic and conceptual depth. The gap produced by this duality resists reduction to mere design object or utilitarian chair. Instead, the work occupies a hybrid identity—what might be termed “art with function” or “sculptural furniture.”
Moreover, the piece underscores the potential of digital technology within contemporary sculptural practice. CT scanning and 3D modeling here operate not merely as technical tools, but as devices that reconfigure ontology.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body is transposed into digital data, only to be rematerialized as a physical object. In traversing original and copy, real and virtual, body and dataset, the work raises questions of authenticity, presence, and transformation. It serves as an experimental case study of how artists today mobilize digital processes to rethink relations between materiality, imagery, and context.
Ultimately, this chair signifies more than a seat. It acts as a device that simultaneously evokes disgust and attraction, estrangement and familiarity. The negative associations of bone are erased through transformation; until the context is revealed, the viewer can sit without hesitation. Yet once that origin is disclosed, the experience is overturned. In this moment of cognitive dissonance, new modes of thought are provoked, and the viewer steps outside the confines of conventional perception.
Bone Chair thus emerges at the intersection of functional object, sculptural experiment, and philosophical inquiry. What it demands of the audience is not passive viewing but an active reorientation of thought. When the familiar act of sitting is estranged, the viewer is compelled to re-examine assumptions long taken for granted. In that disturbance lies the possibility of new awareness. Through this work, the artist affirms that sculpture is not merely the construction of form, but a device capable of subverting perception itself.
-
Bone Chair는 지속적으로 탐구해 온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 전략의 연장선상에서 제작되었다. 낯설게 하기란 문학이론가 빅토르 슈클로프스키(Viktor Shklovsky)에 의해 개념화된 용어로, 익숙한 사물이나 관념을 의도적으로 비틀어 새롭게 경험하게 만드는 미학적 장치이다. Bone Chair는 이 전략을 조형 예술의 차원으로 확장하여, 사람들이 혐오하거나 불편하게 여기는 이미지, 혹은 지나치게 익숙하여 무심히 소비되는 대상을 변형함으로써 새로운 인식의 장을 열고자 하였다.
작품의 출발점은 ‘뼈’라는 소재이다. 뼈는 인간 존재를 지탱하는 구조물임과 동시에 죽음, 유한성, 소멸을 상징하는 기표로 기능한다. 따라서 뼈는 일상적으로 은폐되거나 회피되는 대상이며, 종종 혐오나 두려움의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이 부정적 이미지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대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해체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뼈의 상징성을 탈각시키는 방식을 택하였다.
먼저 작가 자신의 뼈를 CT 스캔하여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모델링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뼈는 단일한 신체 구조물이 아니라, 수많은 점과 면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후 이를 해체하고 분절하여 조각낸 뒤, 다시금 조합하고 변형시킨다. 이러한 디지털 조형 과정은 단순한 모방이나 재현이 아닌, 원본의 해체와 새로운 오브제로의 치환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뼈라는 실재적 대상은 전혀 다른 조형적 구조로 변모하며, 최종적으로는 ‘의자’라는 기능적 가구로 탈바꿈한다.
의자라는 결과물은 기능과 조형, 상징의 세 층위를 동시에 지닌다. 표면적으로 관람자는 낯설지만 흥미로운 조형적 가구를 마주한다. 뼈의 원형은 철저히 해체되어 더 이상 식별되지 않으며, 따라서 관람자는 이 오브제를 단순한 의자, 즉 ‘앉을 수 있는 가구’로 경험한다. 그러나 작품의 제작 과정과 뼈라는 원천 소재를 인지하는 순간, 의자는 단순한 가구를 넘어 강렬한 의미적 충돌을 일으킨다. 앉는 행위—즉, 일상의 평범한 행위—가 죽음과 혐오의 기표로서의 뼈와 맞물리며 발생하는 긴장은 관람자로 하여금 기존의 사고 체계를 흔들고, 낯선 사유의 지평을 열게 한다.
Bone Chair는 기능적 오브제와 예술적 조각 사이의 경계를 교란한다. 가구로서의 의자는 일상적 사용성을 지니지만, 동시에 조각으로서의 의자는 상징적이고 개념적인 층위를 드러낸다. 이 두 속성이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간극은, 작품을 단순한 디자인 오브제나 실용적 가구로 환원하지 못하게 만든다. 오히려 작품은 ‘용도를 가진 예술’ 혹은 ‘조각적 가구’라는 혼종적 정체성을 획득한다.
더 나아가 이 작업은 동시대 조형 예술에서 디지털 기술이 갖는 가능성을 드러낸다. CT 스캔과 3D 모델링이라는 과정은 단순히 재료적 도구가 아니라, 존재를 새로운 차원에서 재인식하게 하는 장치로 작동한다. 실재하는 신체 내부의 구조물이 디지털 데이터로 치환되고, 다시금 물질적 오브제로 환원되는 과정은, 원본과 복제, 실재와 가상, 몸과 데이터라는 여러 층위의 문제를 교차시킨다. 이는 오늘날 디지털 시대에 예술가가 어떻게 실재와 이미지, 맥락과 형태를 전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실험적 사례라 할 수 있다.
결국 이 의자는 단순히 ‘앉을 수 있는 가구’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인간이 가진 혐오와 거부감, 그리고 익숙함과 무심함이라는 양가적 감정을 동시적으로 자극하는 장치다. 본래 뼈가 지니던 부정적 이미지는 해체와 재조합을 통해 사라지고, 관람자는 그 사실을 인지하기 전까지 아무런 거부감 없이 의자에 앉을 수 있다. 그러나 맥락을 알게 되는 순간, 그 경험은 전복된다. 바로 이 지점에서 작품은 새로운 사유를 촉발하며, 관람자는 기존의 관념적 틀을 벗어난 낯선 감각을 경험하게 된다.
이 작품은 기능적 오브제, 조형적 실험, 철학적 질문이 교차하는 장에서 탄생한 결과물이다. 관객에게 요구되는 것은 단순한 감상이 아니라, 사고의 전환이다. 익숙한 일상의 행위가 낯설게 뒤집히는 순간, 관객은 자신이 가진 통념을 재검토하게 되고, 그 흔들림 속에서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마주하게 된다. 작가는 이를 통해 조각이 단순히 형태의 구축이 아니라, 인식의 전복을 유도하는 장치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CT Scanned Bone, PLA (Polylactic Acid)
2023
703 (W) X 750 (L) X 1264 (H)
Bone Chair was created as part of the artist’s ongoing investigation into the strategy of defamiliarization. First conceptualized by the literary theorist Viktor Shklovsky, defamiliarization refers to the aesthetic device of deliberately estranging the familiar in order to make it perceptible anew. The artist extends this strategy into the field of visual art, transforming images that people might find grotesque or uncomfortable—or conversely, those that have become overly familiar and passively consumed—into new forms that open a space for altered perception.
The point of departure for this work is the material of bone. Bone sustains human existence as structure, yet simultaneously functions as a signifier of death, finitude, and decay. As such, it is an object often hidden from view, evoking unease, disgust, or fear. Rather than presenting this negative imagery directly, the artist employs digital technology to dismantle and reconstruct the form, stripping bone of its conventional symbolism.
The process begins with CT scans of the artist’s own bones, which are then translated into 3D modeling data. In this conversion, the bone ceases to be a singular anatomical structure and becomes a constellation of points and surfaces in digital space. The model is fragmented, segmented, and disassembled, then recomposed and transformed through digital manipulation. This sculptural process is not a matter of replication or representation, but of deconstruction and substitution—whereby the original is transfigured into a wholly different object. Ultimately, bone as a tangible subject is reimagined and rematerialized as a chair.
The resulting object operates simultaneously on three levels: function, form, and symbolism. At first glance, the viewer encounters what appears to be a strange yet compelling piece of art furniture. The original anatomy of bone has been dismantled beyond recognition, and thus the work is perceived simply as a chair—an object one may sit upon. Yet once the viewer becomes aware of its source and process, the piece exceeds its identity as furniture and provokes a dramatic collision of meaning. The everyday act of sitting collides with the signifiers of death and abjection, generating a tension that unsettles established modes of thought and opens a horizon for new reflection.
Bone Chair disrupts the boundary between functional object and sculptural artwork. As furniture, it embodies practical usability; as sculpture, it articulates symbolic and conceptual depth. The gap produced by this duality resists reduction to mere design object or utilitarian chair. Instead, the work occupies a hybrid identity—what might be termed “art with function” or “sculptural furniture.”
Moreover, the piece underscores the potential of digital technology within contemporary sculptural practice. CT scanning and 3D modeling here operate not merely as technical tools, but as devices that reconfigure ontology.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body is transposed into digital data, only to be rematerialized as a physical object. In traversing original and copy, real and virtual, body and dataset, the work raises questions of authenticity, presence, and transformation. It serves as an experimental case study of how artists today mobilize digital processes to rethink relations between materiality, imagery, and context.
Ultimately, this chair signifies more than a seat. It acts as a device that simultaneously evokes disgust and attraction, estrangement and familiarity. The negative associations of bone are erased through transformation; until the context is revealed, the viewer can sit without hesitation. Yet once that origin is disclosed, the experience is overturned. In this moment of cognitive dissonance, new modes of thought are provoked, and the viewer steps outside the confines of conventional perception.
Bone Chair thus emerges at the intersection of functional object, sculptural experiment, and philosophical inquiry. What it demands of the audience is not passive viewing but an active reorientation of thought. When the familiar act of sitting is estranged, the viewer is compelled to re-examine assumptions long taken for granted. In that disturbance lies the possibility of new awareness. Through this work, the artist affirms that sculpture is not merely the construction of form, but a device capable of subverting perception itself.
-
Bone Chair는 지속적으로 탐구해 온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 전략의 연장선상에서 제작되었다. 낯설게 하기란 문학이론가 빅토르 슈클로프스키(Viktor Shklovsky)에 의해 개념화된 용어로, 익숙한 사물이나 관념을 의도적으로 비틀어 새롭게 경험하게 만드는 미학적 장치이다. Bone Chair는 이 전략을 조형 예술의 차원으로 확장하여, 사람들이 혐오하거나 불편하게 여기는 이미지, 혹은 지나치게 익숙하여 무심히 소비되는 대상을 변형함으로써 새로운 인식의 장을 열고자 하였다.
작품의 출발점은 ‘뼈’라는 소재이다. 뼈는 인간 존재를 지탱하는 구조물임과 동시에 죽음, 유한성, 소멸을 상징하는 기표로 기능한다. 따라서 뼈는 일상적으로 은폐되거나 회피되는 대상이며, 종종 혐오나 두려움의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이 부정적 이미지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대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해체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뼈의 상징성을 탈각시키는 방식을 택하였다.
먼저 작가 자신의 뼈를 CT 스캔하여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모델링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뼈는 단일한 신체 구조물이 아니라, 수많은 점과 면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후 이를 해체하고 분절하여 조각낸 뒤, 다시금 조합하고 변형시킨다. 이러한 디지털 조형 과정은 단순한 모방이나 재현이 아닌, 원본의 해체와 새로운 오브제로의 치환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뼈라는 실재적 대상은 전혀 다른 조형적 구조로 변모하며, 최종적으로는 ‘의자’라는 기능적 가구로 탈바꿈한다.
의자라는 결과물은 기능과 조형, 상징의 세 층위를 동시에 지닌다. 표면적으로 관람자는 낯설지만 흥미로운 조형적 가구를 마주한다. 뼈의 원형은 철저히 해체되어 더 이상 식별되지 않으며, 따라서 관람자는 이 오브제를 단순한 의자, 즉 ‘앉을 수 있는 가구’로 경험한다. 그러나 작품의 제작 과정과 뼈라는 원천 소재를 인지하는 순간, 의자는 단순한 가구를 넘어 강렬한 의미적 충돌을 일으킨다. 앉는 행위—즉, 일상의 평범한 행위—가 죽음과 혐오의 기표로서의 뼈와 맞물리며 발생하는 긴장은 관람자로 하여금 기존의 사고 체계를 흔들고, 낯선 사유의 지평을 열게 한다.
Bone Chair는 기능적 오브제와 예술적 조각 사이의 경계를 교란한다. 가구로서의 의자는 일상적 사용성을 지니지만, 동시에 조각으로서의 의자는 상징적이고 개념적인 층위를 드러낸다. 이 두 속성이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간극은, 작품을 단순한 디자인 오브제나 실용적 가구로 환원하지 못하게 만든다. 오히려 작품은 ‘용도를 가진 예술’ 혹은 ‘조각적 가구’라는 혼종적 정체성을 획득한다.
더 나아가 이 작업은 동시대 조형 예술에서 디지털 기술이 갖는 가능성을 드러낸다. CT 스캔과 3D 모델링이라는 과정은 단순히 재료적 도구가 아니라, 존재를 새로운 차원에서 재인식하게 하는 장치로 작동한다. 실재하는 신체 내부의 구조물이 디지털 데이터로 치환되고, 다시금 물질적 오브제로 환원되는 과정은, 원본과 복제, 실재와 가상, 몸과 데이터라는 여러 층위의 문제를 교차시킨다. 이는 오늘날 디지털 시대에 예술가가 어떻게 실재와 이미지, 맥락과 형태를 전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실험적 사례라 할 수 있다.
결국 이 의자는 단순히 ‘앉을 수 있는 가구’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인간이 가진 혐오와 거부감, 그리고 익숙함과 무심함이라는 양가적 감정을 동시적으로 자극하는 장치다. 본래 뼈가 지니던 부정적 이미지는 해체와 재조합을 통해 사라지고, 관람자는 그 사실을 인지하기 전까지 아무런 거부감 없이 의자에 앉을 수 있다. 그러나 맥락을 알게 되는 순간, 그 경험은 전복된다. 바로 이 지점에서 작품은 새로운 사유를 촉발하며, 관람자는 기존의 관념적 틀을 벗어난 낯선 감각을 경험하게 된다.
이 작품은 기능적 오브제, 조형적 실험, 철학적 질문이 교차하는 장에서 탄생한 결과물이다. 관객에게 요구되는 것은 단순한 감상이 아니라, 사고의 전환이다. 익숙한 일상의 행위가 낯설게 뒤집히는 순간, 관객은 자신이 가진 통념을 재검토하게 되고, 그 흔들림 속에서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마주하게 된다. 작가는 이를 통해 조각이 단순히 형태의 구축이 아니라, 인식의 전복을 유도하는 장치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