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Grotesque Sublime

PLA
2025

650 (W) X 650 (L) X 2200 (H) mm





이 조각은 오늘날 이미지 환경을 압축적으로 응축한 하나의 물질적 덩어리이자, 시각 문화의 시대적 증언이다. 우리는 매 순간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무수히 많은 이미지들을 마주한다. 그것들은 더 이상 오랜 시간 공들여 제작된 결과물이 아니라, 즉각적으로 생성되고 곧바로 소모되는 일회적 산물에 가깝다. 특히 최근 범람하고 있는 인공지능 이미지들은 ‘창작’이라는 행위를 기계적으로 대체한 채, 그 과정과 맥락을 삭제한 채로 ‘결과물’만을 토해낸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은 고도로 정제된 아름다움이 아니라, 어딘가 뒤틀리고, 혐오스럽고, 동시에 비인간적인 감각을 자아내는 기괴한 형상들이다. 이른바 AI SLOP이라 불리는 이러한 이미지들은 과거 예술적 재현이 지니던 힘과 고유성을 몰락시킨다. 그것들은 껍데기만 남은 피상적 이미지일 뿐, 그 안에 어떤 진실이나 시간성도 담고 있지 않다.

본 작품은 바로 이러한 동시대적 현상을 조각의 언어로 번역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인터넷에서 무차별적으로 쏟아지는 이미지들의 파편을 수집하고, 그것들을 중첩·충돌시키며, 동시에 인공지능이 생성해낸 저질적 이미지의 질감을 의도적으로 끌어들였다. 즉, ‘과잉’과 ‘저급함’, ‘기괴함’과 ‘혐오감’이라는 부정적 특성을 회피하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끌어안음으로써, 오늘의 이미지 환경을 정직하게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조각의 표면은 매끈하게 정리되지 않는다. 왜곡된 인체 조각의 잔해처럼, 기괴하게 늘어난 인공 장기의 단면처럼, 또는 인터넷 밈 속에서 재가공된 파편적 얼굴처럼 일그러져 있다. 이는 관람자로 하여금 불편한 감각을 일으키며, 동시에 낯설지만 어디선가 본 듯한 기시감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이 조각의 재료가 된 이미지들은 모두 우리가 매일 접하는 시각 환경의 파편들이기 때문이다. 관람자는 이 앞에서 단순히 ‘추’하거나 ‘그로테스크’하다고 반응하는 것을 넘어, 왜 이런 형상이 낯익으면서도 불쾌한지를 자문하게 된다. 그것은 우리가 이미 이와 같은 저질적 이미지들의 홍수 속에 잠겨 있다는 무의식적 인식의 결과다.

또한 이 작품은 조각이란 매체의 본질을 다시 묻는다. 조각은 전통적으로 ‘영속성’을 전제했다. 돌, 청동, 목재와 같은 재료 위에 새겨진 형상은 오랜 시간을 견디며 존재한다. 그러나 이 작품은 그와 반대로 ‘순간성’과 ‘소멸성’을 본질로 하는 인터넷 이미지를 재료로 삼았다. 즉, 오래 남지 않고, 맥락 없이 소비되는 이미지들을 ‘덩어리’로 묶어 물질화함으로써, 사라져야 할 것들을 억지로 고정시키고, 동시에 영속적 매체인 조각 속에 봉인한다. 이 아이러니한 충돌은 관람자에게 묘한 긴장을 선사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중첩’이다. 이미지들의 무질서한 겹침은 단순히 시각적 혼란을 주기 위함이 아니라, 동시대 이미지 환경의 작동 원리를 드러내기 위한 장치다. 오늘날 우리는 하나의 이미지가 아니라 수십, 수백의 이미지가 서로 겹쳐진 스크린을 바라본다. 소셜미디어의 피드, 인터넷 검색 결과, AI 생성 이미지의 무한 증식은 서로의 맥락을 지우며 끝없이 겹치고 뒤엉킨다. 이 조각은 그러한 경험을 물질적 차원에서 재현한다.

그 결과 탄생한 형상은 ‘현 시대의 토템’과도 같다. 전통 사회에서 토템은 공동체의 신앙과 욕망을 압축적으로 담아낸 상징체였다. 이 작품은 우리 시대의 토템, 즉 ‘이미지의 과잉과 피상성’을 응축한 조형물이다. 그러나 이 토템은 경배의 대상이 아니라 경고의 대상이다. 관람자는 이 앞에서 오늘날의 시각 환경이 지닌 문제, 즉 무한 복제와 맥락 상실, 그리고 혐오와 기괴함의 범람을 직면하게 된다.

결국 이 조각은 단순히 시각적 결과물이 아니라 시대적 증언이다. 그것은 인간의 창조성이 더 이상 존중받지 못하고, 기계적 생성물들이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잠식해 가는 지금의 현실을 고발한다. 동시에 이 작품은 조각이 여전히 시대를 반영할 수 있는 힘을 지닌 매체임을 증명한다.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조각은 그 파편들을 묶어 하나의 물질적 실체로 제시한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비로소 ‘이미지의 시대’를 하나의 물리적 조형물 앞에서 직시할 수 있게 된다.



-



This sculpture stands as a condensed embodiment of today’s image environment and as a testimony to the visual culture of our time. Every moment, we are immersed in an endless torrent of images flowing through the internet. These are no longer the carefully crafted results of long, deliberate labor, but rather instantaneously generated, immediately consumed, and disposable products. In particular, the recent flood of artificial intelligence–generated images has replaced the act of “creation” with mechanical reproduction, erasing process and context while spitting out only “results.” What emerges is not refined beauty but distorted, grotesque, and unsettling forms that evoke a sense of inhuman strangeness. These so-called AI SLOP images dismantle the power and uniqueness that artistic representation once carried. They are nothing more than superficial shells, emptied of truth or temporality.

This work begins from the attempt to translate that contemporary phenomenon into the language of sculpture. It collects fragments of indiscriminately proliferating online images, overlaps and collides them, and deliberately incorporates the textures of low-quality AI outputs. By embracing—rather than avoiding—negativity such as “excess,” “vulgarity,” “grotesqueness,” and “repulsion,” the piece seeks to lay bare the reality of our current visual condition.

The surface of the sculpture is intentionally unrefined. It twists like the remnants of distorted human anatomy, bulges like cross-sections of synthetic organs, and warps like faces recycled endlessly in internet memes. These forms provoke discomfort in the viewer, while simultaneously stirring a strange familiarity. This is because the very material of the sculpture originates from the same image fragments that saturate our everyday lives. The viewer is compelled to ask not only why the form appears grotesque but also why it feels familiar. The answer lies in the unconscious recognition that we are already submerged in such floods of degraded images.

The work also re-examines the essence of sculpture itself. Sculpture has traditionally presupposed permanence—forms carved into stone, cast in bronze, or hewn from wood that endure across time. In stark contrast, this piece uses as its raw material images defined by transience and disposability. By forcibly binding and materializing fleeting, contextless images into a solid mass, it fixes that which ought to vanish, sealing them within a medium historically associated with permanence. This ironic collision produces a tense, unsettling resonance.

At the heart of the work lies the strategy of layering. The chaotic overlap of images is not merely for visual confusion but a structural device that reveals how images operate today. We do not encounter single images anymore but feeds of dozens, even hundreds of images layered atop one another. Social media timelines, search engine results, and the infinite reproduction of AI outputs all erase each other’s contexts while piling up endlessly. This sculpture reenacts that very experience in material form.

The result is a kind of totem of the present age. In traditional societies, totems condensed communal beliefs and desires into symbolic form. This work functions as our era’s totem: an object that embodies the excess and superficiality of contemporary image culture. Yet unlike sacred totems, this is not meant for worship but for warning. Standing before it, the viewer confronts the problems of today’s visual environment—unlimited replication, loss of context, and the proliferation of grotesque and abhorrent forms.

Ultimately, this sculpture is not simply a visual product but a testimony of the times. It indicts a reality in which human creativity is no longer valued and mechanical outputs infiltrate both art and everyday life. At the same time, it proves that sculpture remains a medium capable of reflecting the present. Amid the overwhelming flood of images, sculpture binds their fragments into a tangible entity, allowing us, perhaps for the first time, to face the “age of images” as a single, solid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