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e Table

PLA
2025

500 (W) X 650 (L) X 450 (H) mm






Bone Table은 전작인 Bone Chair와 같은 맥락에서 사람들이 무심히 소비하거나 기피하는 대상을 변형하여 낯선 인식의 장을 열고자 한다. Bone Table은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되 ‘의자’가 아닌 ‘테이블’이라는 오브제를 통해 새로운 차원의 실험을 시도한다. 뼈는 인간 존재를 지탱하는 구조물임과 동시에 죽음, 소멸, 유한성을 상징한다. 그러나 동시에 일상의 구조적 기반이면서도 무심히 은폐된다는 점에서 테이블과 닮아 있다. 테이블은 늘 생활의 중심에 있지만 그 구조적 의미는 간과되듯, 뼈 역시 삶의 토대이면서도 의식되지 않는다. 작가는 이 이중성을 매개로 뼈와 테이블을 중첩시켜 낯설게 하기의 전략을 더욱 강화한다.

제작 과정은 작가 자신의 신체를 CT 스캔하여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작된다. 뼈는 수많은 점과 면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후 분절·해체·조합·변형의 과정을 거치며 전혀 다른 구조로 재구성된다. 이 과정은 단순한 원형의 재현이 아니라 뼈라는 실재적 기표를 해체하고 새로운 조형적 구조물로 치환하는 실험이다. 최종적으로 구현된 Bone Table은 신체 내부의 은폐된 구조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외부의 기능적 구조물로 환원되는 과정을 증언한다. 뼈는 더 이상 생물학적 실체가 아니라 테이블이라는 사회적·생활적 오브제로 재탄생하며, 존재가 디지털 기술 속에서 변환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Bone Table이 선택한 테이블이라는 오브제는 의자와 다른 사회적·상징적 차원을 지닌다. 의자가 개인의 신체와 직접 맞닿아 앉음이라는 긴장을 불러일으켰다면, 테이블은 식사와 대화, 노동과 교류의 장으로 기능하며 관계적 의미를 강조한다. 따라서 관람자는 표면적으로 낯설고 매혹적인 조형적 테이블을 마주하게 되지만, 그 기원이 뼈임을 인지하는 순간 테이블 위의 모든 행위—먹고, 쓰고, 나누는 행위—가 죽음과 소멸의 기표와 충돌하며 강렬한 긴장을 불러일으킨다. 평범한 교류의 장이 돌연 죽음을 환기하는 장으로 전환되고, 관람자는 일상의 무심한 행위가 전복되는 경험을 마주한다. 이를 통해 관람자는 기존의 사고 체계를 흔들리게 되며, 낯선 사유의 가능성을 경험하게 된다.

Bone Table은 기능과 조형, 상징이 교차하는 혼종적 오브제로서, 실용적 가구이자 개념적 조각의 양가적 정체성을 지닌다. CT 스캔과 3D 모델링은 단순한 제작 도구가 아니라 실재와 가상, 몸과 데이터, 원본과 복제의 경계를 뒤흔드는 장치로 작동한다. 뼈가 디지털 데이터로 치환되고 다시 물질적 오브제로 환원되는 과정은 존재를 새롭게 인식하게 하며, 디지털 시대 예술의 존재론적 질문을 제기한다. Bone Chair가 개인적 차원의 신체적 긴장을 불러일으켰다면, Bone Table은 사회적 차원에서 공유와 교류의 행위를 낯설게 전도시킨다. 익숙한 일상이 전복되는 순간 관람자는 통념을 재검토하게 되고, 그 흔들림 속에서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이는 조각이 단순한 형태 구축을 넘어 사고의 전환을 유도하는 장치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Bone Table, like its predecessor Bone Chair, seeks to transform objects that are either consumed unconsciously or deliberately avoided, in order to open a field of unfamiliar perception. While applying the same methodology, Bone Table takes a different path by adopting the object of the “table” instead of the “chair,” thereby attempting a new dimension of experimentation. Bones are the structures that sustain human existence, while at the same time symbolizing death, finitude, and decay. Yet bones are also akin to tables in that they remain as the underlying structures of daily life while being quietly concealed from view. Just as the table is always at the center of life yet its structural meaning is overlooked, bones too are the foundation of life while rarely being consciously recognized. By layering these dualities, the artist intensifies the strategy of defamiliarization through the overlap of bone and table.

The process of creation begins with CT scans of the artist’s own body. The bones are converted into digital data composed of countless points and surfaces, which are then segmented, dismantled, recombined, and transformed into an entirely different structure. This process is not a simple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form but an experiment in dismantling the signifier of the bone and reconstituting it as a new sculptural structure. The final realization of Bone Table bears witness to the way the hidden structures of the human body are transpos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into external functional structures. Bones cease to be mere biological entities and are reborn as social and practical objects in the form of a table, visually demonstrating the transformation of existence within the realm of digital technology.

The choice of the table as the object of Bone Table carries social and symbolic dimensions distinct from those of the chair. Whereas the chair provoked tension through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in the act of sitting, the table functions as a site of eating, conversation, labor, and exchange, emphasizing relational meaning. The viewer may first encounter Bone Table as a visually strange yet captivating sculptural form, but once its origin in bones is recognized, every action performed upon the table—eating, writing, sharing—collides with the signifiers of death and decay, producing an intense tension. The ordinary scene of exchange suddenly transforms into a space of mortality, overturning the taken-for-granted behaviors of daily life. In this reversal, the viewer is unsettled, compelled to question established frameworks of thought, and drawn into the possibility of unfamiliar ways of thinking.

Bone Table thus emerges as a hybrid object in which function, form, and symbolism intersect—at once a practical piece of furniture and a conceptual sculpture with dual identity. CT scanning and 3D modeling function not merely as tools of fabrication but as mechanisms that destabilize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body and data, original and replica. The process by which bones are transposed into digital data and then reconverted into material objects allows existence itself to be re-perceived, raising ontological questions in the context of digital-era art. Whereas Bone Chair elicited tension at the level of individual corporeal contact, Bone Table destabilizes acts of sharing and exchange at the social level. When the familiarity of everyday life is overturned, viewers are compelled to reconsider their assumptions, and within that disturbance they encounter the possibility of new perception. In doing so, the work proposes that sculpture can move beyond the mere construction of form to become a device for provoking shifts in thought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