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e Lamp


PLA
2024

1500 (W) X 700 (L) X 700 (H) mm






Bone Lamp는 작가가 지속적으로 탐구해 온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 전략의 실험적 연장선에서 탄생한 작품이다. 작가는 이 개념을 조형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하여, 혐오나 거부감을 불러일으키는 소재 혹은 지나치게 익숙하여 무심히 소비되는 대상을 전복시켜 새로운 조형적·철학적 경험으로 전환하는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탐구해 왔다.
Bone Lamp는 이러한 탐구를 구체화한 결과물로, 전작 Bone Chair에서 사용된 디지털 해체와 재조합의 방법론을 이어받으면서도, 전혀 다른 미학적 지점을 드러낸다. Bone Chair가 ‘앉는다’는 행위와 죽음을 상징하는 뼈의 기표를 결합시켜 불편한 긴장과 충돌을 유발했다면, Bone Lamp는 빛이라는 매개를 통해 뼈가 가진 부정적 이미지를 지우고 오히려 숭고한 아름다움으로 전환시킨다.

작품의 출발점 역시 ‘뼈’라는 소재이다. 뼈는 인간의 삶과 죽음을 동시에 함축하는 이중적 기호로, 문화적으로는 혐오와 두려움, 부정성의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Bone Lamp에서는 이러한 뼈의 속성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작가는 자신의 뼈를 CT 스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추출한 뒤, 그 데이터를 해체하고 분절하여 새로운 구조로 재조합한다. 이 과정에서 뼈는 더 이상 해부학적 구조물이 아니라 수많은 점과 면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의 집합으로 변환된다.
디지털 조형 과정은 단순한 모방이나 재현이 아니라 원본의 철저한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작가는 뼈 데이터를 조각내어 낯선 조형적 단위로 만들고, 이를 다시 결합하면서 원래의 형태적 단서들을 완전히 지워낸다. 관람자는 Bone Lamp 앞에서 뼈의 흔적을 전혀 인식하지 못한다. 남는 것은 단지 구조적 리듬과 조형적 긴장, 그리고 그 위에 덧입혀진 빛의 울림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뼈는 혐오와 거부감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낯설지만 직관적으로 아름다운 오브제로 전환된다.

Bone Lamp의 핵심은 빛과 조형의 결합이다. 빛은 뼈가 가진 어두운 상징성을 중화시키는 동시에, 그 구조를 드러내고 확장하는 매개로 작동한다. 해체와 재조합을 거쳐 낯선 형상으로 재탄생한 Bone Lamp는 빛을 발산하며, 공간 속에서 존재감을 확장한다. 관람자는 뼈의 흔적을 떠올리는 대신, 조형적 구조가 만들어내는 음영과 빛의 투과에서 직관적인 아름다움과 숭고미를 경험한다.  Bone Lamp는 기능적 오브제와 조형적 실험, 그리고 철학적 질문을 동시에 품고 있다. ‘조명’이라는 일상적 용도는 관객이 자연스럽게 작품에 다가갈 수 있게 하지만, 그 구조적 기원과 제작 과정이 드러나는 순간, 작품은 전혀 다른 층위로 확장된다. 뼈라는 혐오의 기표가 직관적 아름다움으로 전환되는 경험은 관객에게 강렬한 전복의 순간을 제공한다.

또한 Bone Lamp는 동시대 예술에서 디지털 기술의 역할을 사유하게 한다. CT 스캔과 3D 모델링 과정은 단순한 제작 도구가 아니라, 존재를 새롭게 인식하게 만드는 장치로 기능한다. 실재하는 신체 내부의 구조가 디지털 데이터로 치환되고, 다시금 물질적 오브제로 환원되는 과정은, 원본과 복제, 실재와 가상, 몸과 데이터라는 문제들을 교차시킨다. Bone Lamp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무엇이 실재이고 무엇이 전환된 것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하며, 동시대 조형 예술이 지닌 비물질적·물질적 경계의 유동성을 드러낸다. 작가는 Bone Lamp가 뼈의 기원을 의도적으로 지우고, 관람자로 하여금 ‘무엇으로부터 유래했는가’라는 질문 대신 ‘지금 눈앞에 무엇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도록 유도한다. 뼈라는 부정적 기표가 사라진 자리에서, 관람자는 직관적 감각에 집중할 수 있으며, 이때 작품은 빛과 조형의 순수한 경험으로 전환된다. 이는 Bone Chair가 신체적 행위를 통한 불편과 충돌을 강조했다면, Bone Lamp는 숭고와 아름다움의 경험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대비된다.

결국 Bone Lamp는 단순히 공간을 밝히는 조명이 아니라, 인식의 전환을 일으키는 장치이다. 관람자는 이 작품 앞에서 본래의 뼈라는 기원을 알아차릴 수 없지만, 바로 그 ‘부재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미학적 차원으로 이끌린다. 이는 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 것을 다시 아름답게 만드는 작가의 전략이 구체화된 결과이다. Bone Lamp는 기능과 조형, 숭고의 경험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오브제이며, 그것은 관객에게 단순한 감상이 아니라, 사고의 확장을 요구한다. 빛이라는 매개를 통해 뼈는 혐오의 기표에서 숭고한 조형으로 전환되고, 관람자는 그 과정을 통해 기존의 관념적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인식과 감각을 마주하게 된다.



-




Bone Lamp emerges as an experimental extension of the artist’s ongoing exploration of defamiliarization. The artist expands this concept into the field of visual art, persistently examining methods that overturn subjects conventionally associated with disgust or aversion—or those excessively familiar and consumed without awareness—transforming them into sites of new sculptural and philosophical experience.
Bone Lamp is the materialization of this inquiry. While it inherits the digital deconstruction and recombination methods employed in the earlier Bone Chair, it unfolds along an entirely different aesthetic trajectory. Whereas Bone Chair combined the act of sitting with the signifiers of death, producing discomfort and tension, Bone Lamp employs light as a medium to erase the negative associations of bone, converting them instead into an experience of sublimity and beauty.

The point of departure for the work is again the material of bone. Bone encapsulates the dual signification of both life and death, and in cultural terms often provokes unease, disgust, and fear. In Bone Lamp, however, these associations are not directly revealed. The artist extracted digital data from CT scans of their own bones, then dismantled and segmented the data before recomposing it into new structures. In this process, bone ceases to be an anatomical entity and is transformed into a constellation of points and surfaces within digital space.
This digital sculptural process enables not replication or representation but radical transformation. The bone data are fragmented into unfamiliar sculptural units and then recombined until every recognizable trace of the original form has been erased. Standing before Bone Lamp, the viewer cannot perceive any skeletal residue. What remains are only structural rhythms, sculptural tensions, and the resonance of light cast upon the form. At this point, bone escapes its associations with revulsion and becomes an object that is strange yet intuitively beautiful.

The core of Bone Lamp lies in the fusion of light and form. Light neutralizes the dark symbolism of bone while simultaneously revealing and expanding its reconfigured structure. Reborn through processes of deconstruction and recomposition, Bone Lamp emits light and extends its presence within the surrounding space. Instead of recalling corporeal remains, the viewer encounters the interplay of structure, shadow, and translucency, experiencing an intuitive beauty and a sense of the sublime.
Bone Lamp is at once a functional object, a sculptural experiment, and a philosophical inquiry. Its everyday function as “lamp” allows the viewer to approach it without hesitation, but once its structural origin and digital process are revealed, the work expands into a completely different dimension. The transformation of bone from a signifier of disgust into an experience of beauty produces for the viewer a moment of profound inversion.

Bone Lamp also reflects on the role of digital technology in contemporary art. CT scanning and 3D modeling function here not merely as tools of production but as devices that reconfigure perception itsel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ody is transposed into digital data, then rematerialized into a physical object. This passage between original and copy, real and virtual, body and dataset reveals the fluid boundaries of materiality and immateriality in contemporary sculpture. Through this process, Bone Lamp raises the question: What is real and what is transformed? By doing so, it situates itself within the ongoing discourse of how contemporary art negotiates form, context, and meaning in the digital age.

The artist intentionally erases bone’s origin within Bone Lamp, guiding the viewer away from the question “What was this made from?” toward the question “What is present before me now?” With the negative signifier removed, the viewer can focus on immediate sensory experience, encountering the work as pure interaction between light and form. In this regard, Bone Lamp contrasts with Bone Chair: the former emphasizes beauty and sublimity, while the latter emphasized discomfort and corporeal tension.

Ultimately, Bone Lamp is not merely a lamp that illuminates space but a device that provokes a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Although the viewer cannot recognize its origin in bone, it is precisely through this absence that the work draws them into another aesthetic dimension. This is the artist’s strategy made concrete: rendering the familiar strange, and the abject beautiful.

Bone Lamp stands as a hybrid object in which function, form, and sublimity converge. It demands from the viewer not passive observation but an expansion of thought. Through the medium of light, bone is displaced from its associations with death and disgust and is reconstituted as a sculptural presence of beauty and transcendence. In this encounter, the viewer is invited to step beyond familiar conceptual frameworks and to face new possibilities of perception and awar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