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gitalized Relics
Resin, PLA, Urethane
2023
600 (W) X 400 (L) X 800 (H)
*Commissioned by Bombay Sapphire
The artist has consistently explored the process of transposing physical objects into the digital realm, subjecting them to formal transformations within a digital environment, and then returning them to the material world as tangible objects once again. This approach extends beyond a mere technical procedure of making; it operates as an artistic device that exposes the tensions between original and replica, reality and virtuality, material and image. When a physical object is reduced to digital data, it ceases to be something tangible and instead becomes an abstract structure—comprised of countless points and surfaces, or interpretable through algorithms. Yet when this data is once again materialized, it is reborn not as a mere reproduction, but as an entirely different entity. By repeating this process, the artist traverses the boundary between digital and physical, thereby concretizing the ontological questions at the heart of contemporary art.
In this project, the artist turned their attention to “Bombay Sapphire” and the symbolic objects associated with it. Bombay Sapphire is a globally renowned gin brand, distinguished by its iconic blue bottle,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its strong brand identity. The bottle’s deep and transparent sapphire-blue hue functions as more than a mere container—it becomes a central element that imprints the brand’s identity in the viewer’s memory. At the very moment consumers encounter the bottle, they intuitively recall the nature of the drink inside it. This interplay between visual symbol and experiential memory constitutes a powerful cultural imprint. The artist identified three key concepts from this: “history,” “material,” and the “blue bottle.” These keywords represent the condensed cultural and visual imagery of Bombay Sapphire and became the conceptual foundation of the work.
These extracted keywords were deconstructed, recombined, and subjected to formal transformation within a digital environment. The aim was not to replicate or reproduce the form of the Bombay Sapphire bottle, but to transpose its symbolism into a digital object and transform it into an entirely new form. For example, the “blue bottle” was not represented as a literal vessel but instead reframed as a chromatic key, spreading across the digital structure like a wave of color impressions. “History” was visualized by dismantling the fixity of form, allowing the surface to fragment or distort as though marked by the passage of time. “Material” was translated into digital texture, whereby the smooth, solid qualities of glass were reimagined as new sculptural surfaces. Thus, these three concepts were decomposed into dimensions of form, texture, and color, colliding and fusing with one another in the process.
The digital sculpture that emerged from this process became an entirely unique object, far removed from the original Bombay Sapphire bottle. Yet subtle traces of the original remained, inviting recognition. The viewer confronts unfamiliar curves and segmented structures, while simultaneously sensing the lingering resonance of the blue bottle. It is precisely at this intersection—where familiarity and strangeness converge—that the tension of defamiliarization arises, aligning with the artist’s ongoing strategy. The digital sculpture was then materialized through 3D printing. This transition of abstract digital structures into tangible form was not a straightforward reproduction, but rather an experimental transformation that unsettles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The completed object extends beyond formal completeness. It incorporates the keyword “transformation” as part of its artistic system by becoming a surface for digital projection. The artist projected a moving digital image onto the object, allowing the video to flow across its contours and surfaces, constantly altering its appearance. The projection makes active use of Bombay Sapphire’s iconic blue, imbuing the static material object with an illusion of movement and vitality. In the overlap between material object and projected image, the viewer no longer perceives it as a fixed sculpture but as a dynamic image that embodies the ever-shifting identity of Bombay Sapphire.
This device produces a hybrid experience in which static sculpture and dynamic projection coexist. The object is simultaneously a material presence and a shifting visual surface animated by light. The viewer experiences its dual nature while following the variations of color and form across its surface. As the blue bottle’s image seeps into the object, it is not perceived as a fixed vessel but as a fluid symbol in perpetual transformation. In this sense, the work is not a literal reproduction of the brand, but an expansion of its identity and symbolism into an artistic register through the concept of “transformation.”
Ultimately, this project takes the concrete brand imagery of Bombay Sapphire as its point of departure, but instead of simply imitating or consuming it, the work defamiliarizes and transforms it to propose a new visual and perceptual experience. Standing before the work, the viewer recalls traces of the familiar brand yet simultaneously encounters an utterly unfamiliar object and audiovisual experience. The project thus transcends mere consumption, prompting reflection on how we perceive and remember images and symbols. By traversing the boundaries between physical and digital, material and image, brand and art, the artist reveals both the possibilities and the critical concerns embedded in contemporary artistic practice. This work extends beyond object-making to demonstrate how, in the digital era, art can intertwine reality and virtuality to provoke new modes of thought and perception.
-
작가는 실재하는 오브제를 디지털로 치환하고, 다시 디지털 환경 속에서 형태적 변형을 거친 뒤, 그것을 다시 실재하는 물질적 오브제로 되돌리는 과정을 일관되게 탐구해 왔다. 이 방식은 단순히 제작 기술의 차원을 넘어, 원본과 복제, 실재와 가상, 물질과 이미지라는 여러 층위의 긴장을 드러내는 예술적 장치로 작동한다. 실재하는 사물이 디지털 데이터로 환원될 때, 그것은 더 이상 만질 수 있는 오브제가 아니라 수많은 점과 면, 혹은 알고리즘으로 해석 가능한 추상적 구조로 전환된다. 그러나 이 데이터가 다시 물질로 환원되는 순간, 그것은 단순한 복제가 아닌 전혀 다른 존재로서 탄생하게 된다. 작가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디지털과 실재 사이를 넘나드는 작업을 통해 동시대 예술이 다루는 존재론적 질문을 구체화한다.
이번 작업에서 작가가 주목한 대상은 바로 ‘봄베이 사파이어(Bombay Sapphire)’라는 브랜드와 그것을 상징하는 오브제들이다. 봄베이 사파이어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진(Gin) 브랜드로, 그 특유의 푸른색 병과 역사적 배경, 그리고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결합된 상징적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특히 투명하면서도 깊은 청색을 띠는 병의 색감은 단순한 용기를 넘어 브랜드의 정체성을 각인시키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소비자들은 그 병을 보는 순간 이미 그 안에 담긴 술의 성격과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떠올리게 되며, 이는 시각적 상징과 경험적 기억이 결합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작가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역사’, ‘재료’, ‘푸른 병’이라는 키워드들을 추출해냈다. 이 키워드들은 봄베이 사파이어가 지닌 문화적·시각적 이미지의 응축체이자, 본 작업의 출발점이 되었다.
추출된 키워드들은 디지털 환경 속에서 해체되고, 재조합되며, 형태적 변형을 거쳤다. 이는 단순히 봄베이 사파이어 병의 형태를 모방하거나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징을 디지털 오브제로 치환하여 전혀 새로운 형식으로 탈바꿈시키는 과정이었다. 예를 들어, ‘푸른 병’은 단순히 병의 외형이 아니라 색채적 키워드로 치환되어, 디지털 조형 과정에서 구조 전체에 파동처럼 스며드는 색감의 인상으로 변환되었다. 또한 ‘역사’라는 키워드는 병의 형태적 고정성을 해체하고, 시간의 흔적처럼 표면이 변형되거나 분절되는 방식으로 시각화되었다. ‘재료’라는 키워드는 디지털 환경에서 텍스처로 구현되어, 유리의 매끄럽고 단단한 성질이 새로운 조형적 표면으로 번역되었다. 이처럼 세 가지 키워드는 디지털 공간에서 형태와 질감, 색채의 차원으로 분해되며 서로 충돌하고 융합하였다.
이 과정을 거쳐 탄생한 디지털 조형물은 기존의 봄베이 사파이어 병과는 전혀 다른 유니크한 오브제가 되었다. 그러나 그 안에는 여전히 원본을 떠올리게 하는 미묘한 흔적이 남아 있다. 관람자는 그 형태에서 낯선 곡선과 분절된 구조를 마주하지만, 동시에 푸른 병의 잔향을 감지하게 된다. 바로 이 지점에서 익숙함과 낯섦이 교차하는 긴장이 발생하며, 이는 작가가 지속적으로 추구해 온 낯설게 하기의 전략과도 맞닿아 있다. 이 조형물은 다시 3D 프린팅을 통해 물질적 실체로 제작된다. 디지털 데이터의 추상적 구조가 다시금 물질화되는 과정은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실재와 가상의 경계를 뒤흔드는 실험적 변환이라 할 수 있다.
완성된 오브제는 단순히 조형적 완결성을 지니는 데 그치지 않는다. 오브제는 다시금 ‘변형(transformation)’이라는 키워드와 결합하여 하나의 영상적 장치를 품는다. 작가는 이 조형물 위에 디지털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을 택했으며, 그 영상은 오브제가 지닌 표면과 형태를 따라 흐르며 끊임없이 변형된다. 특히 영상은 봄베이 사파이어의 아이코닉한 블루 컬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정된 물질적 오브제가 마치 살아 움직이는 듯한 역동성을 획득하게 한다. 물질로서의 오브제와 빛으로서의 이미지가 중첩되는 순간, 관람자는 더 이상 그것을 단순한 조형물로 경험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봄베이 사파이어의 상징적 이미지로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장치는 정적인 조각과 동적인 영상이 결합된 혼합적 경험을 제공한다. 오브제는 물질적 실체이면서도 동시에 영상의 투사에 의해 끊임없이 색채와 표면을 달리한다. 관람자는 그 앞에서 시각적으로 변주되는 이미지를 따라가며, 오브제가 지닌 이중적 성격을 체감한다. 푸른 병의 이미지가 오브제 위에 스며들며, 그것은 고정된 병이 아니라 유동하는 상징으로 경험된다. 이는 단순히 브랜드의 재현이 아니라, 브랜드가 지닌 정체성과 상징성을 ‘변형’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예술적 차원으로 확장한 것이다.
결국 이번 작업은 봄베이 사파이어라는 구체적 브랜드 이미지를 출발점으로 하되, 그것을 단순히 모방하거나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낯설게 변형하여 새로운 시각적 체험을 제시하는 실험이라 할 수 있다. 관람자는 작품 앞에서 익숙한 브랜드의 흔적을 떠올리면서도, 동시에 전혀 낯선 오브제와 영상적 경험을 마주하게 된다. 이는 소비의 차원을 넘어, 우리가 어떻게 이미지와 상징을 인식하고 기억하는지를 다시금 성찰하게 만든다. 작가는 실재와 디지털, 물질과 이미지, 브랜드와 예술이라는 경계를 넘나들며, 동시대 조형예술이 다루는 가능성과 문제의식을 집약적으로 드러낸다. 이번 작업은 단순한 오브제 제작을 넘어, 디지털 시대에 예술이 실재와 가상을 교차시키며 새로운 사유와 감각을 촉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실험적 사례라 할 수 있다.
Client : Bombay Sapphire